The Nonlinear Optics & Photonic Devices for Quantum Applications (NOPD) Laboratory, established in 2013, conducts advanced research at the intersection of nonlinear optics, quantum optics, and mid-infrared photonic technologies. Our research focuses on the following areas:
Development of mid-infrared photonic devices and fiber-optic components based on nonlinear optical processes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quantum light sources for applications in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
Experimental studies in quantum optics, quantum communication, and quantum sensing
While building on the foundation of conventional optical communications, we actively explore emerging applications in quantum information processing, precision sensing, defense, and security. By integrating nonlinear photonics with quantum technologies, the NOPD Laboratory aim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ext-generation photonic and quantum systems.
최신 소식의 자세한 내용 및 과거 소식은 News & Events Archive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07.22 – 조희원, 학부연구생 합류 (양자정보실험 연구)😈
2025.07.22 – 강누리, Yale University 박사과정 진학 (양자정보이론)🎉
2025.07.02 / 권경민, 양자정보융합전공 졸업논문 최우수상(S3Q: Shadow Sample based Shallow Quantum State Tomography)
2025.07.01 / KHUbit(권경민, 한동제, 윤인희, 강동우), 2025 양자정보 경진대회(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IonQ 클라우드 활용 특별상'
2025.06.23 / 신창희, 전국양자정보과학동아리연합회(QISCA)하계 컨퍼런스 패널 참석, 연구 경험 공유
2025.06.13 / 신창희, 응용물리학과 졸업논문 발표회 우수상(Quantum Eraser: Probing Coherence and Entanglement)
2025.06.23 / 이병헌, KIST 양자기술연구단 현장실습 (양자 간섭계)
2025.06.01 – 김일환, Optica Quantum 2.0 Conference and Exhibition 2025 발표🔍
2025.05.19 – 김일환, Opt. Express 33, 22087-22103 (2025).🔍
2025.05.16 – 김일환, 박사학위심사💯
2025.02.17 – 김일환, 2025 한국양자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
광학 기반 양자정보실험 (양자통신,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KIST와 공동연구
비선형 광학 현상 및 응용연구
통신 파장, 중적외선 대역의 광섬유 소자 연구
기하광학 소자 연구
영어성적 TOEIC 730, TOEFL iBT 79, TEPS 657, IELTS 6 중 한 가지 만족
학점 3.3 / 4.3 이상 (or 전체 평균 B+ 이상)
공부와 연구에 대한 의지가 확고한 경우
참고: 대학원 등록금은 다음과 같이 충당할 수 있음
1학년 물리학 실험 조교 활동을 통해 등록금 대부분이 면제됨(조교 업무 및 계약은 실험 준비실에서 관리함)
본교 학부 성적 우수자 장학: 학부 평점평균(GPA) 3.8 이상인 경우 등록금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대학원 최신 입시 요강 참고)
이광조 교수 [e-mail]🔍
광학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대학원생은 연구, 공부, 실험실 관리의 세 가지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해야 합니다.
연구자(Researcher)는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법을 창의적으로 탐구합니다.
기술 전문가(Technician)는 장비 운용과 기술 습득에 탁월하지만, 연구 주제를 가지고 창의적인 탐구 활동을 하는 연구자와는 다릅니다.
지도 교수(Supervisor/Advisor)는 개인 과외 교사나 논문 대필자가 아닙니다.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조언을 드리지만, 실제 수행과 학습은 학생 스스로 해야 합니다.
연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장비 매뉴얼, MS 오피스 등은 스스로 익혀야 합니다.
연구실 학생들은 수직적 관계가 아닌 동료로서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입니다.
배정받은 일에는 최선을 다하고, 협업이 필요할 때는 각자의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해 주세요.
사적인 사정이 있을 때는 서로 배려하되, 기본적인 예의와 업무 태도를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광섬유 소자·적외선 광학 분야: [푸리에광학] 수강, B+ 이상
양자광학·비선형 광학 분야: [양자역학II], [푸리에광학] 수강, B+ 이상
본교 출신: [현대물리실험] 또는 [포토닉스실험] 이수, B+ 이상 (타교·타전공은 유사 실험 과목 인정)
기초 과목 이수가 부족하면 연구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관련 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작은 주제라도 스스로 끝까지 완수하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지도 교수 지시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 과정에서 얻는 경험을 자산으로 삼아 주세요.
학위 논문은 본인이 직접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수동적인 태도(예: 지도 교수만 기다리기, 형식적인 작업만 반복하기)는 지양해 주세요.
광섬유 소자: 실용 광소자 개발
중적외선 광학: 중적외선 광학 소자 연구
비선형 광학: 2차·3차 비선형 광학 연구
양자광학: 양자얽힘 및 양자 정보 응용 광학계 개발 (가시광선 기술, 물질 합성·물성 측정은 주요 대상이 아닙니다.)
대학원 등록금 일부는 1학년 물리학 실험 조교 활동으로 충당 가능합니다(조교 업무 및 계약은 실험 준비실에서 관리).
본교 학부 성적(평균 3.8 이상)은 등록금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대학원 최신입시요강 참고).
매월 연구비 과제 참여도에 따라 '급여' 형태로 지원받습니다. 이는 장학금이 아닌 과제 수행 대가이며, 과제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연락은 원칙적으로 주중 업무 시간(대학본부 업무 시간) 내 이메일·문자·전화로 진행하며, 논문 작성·학회 준비 등 특별한 경우 주말 이메일도 가능합니다.
연구실 컴퓨터는 연구·학습용입니다. 개인 오락(드라마 시청, 게임 등) 사용 시 연구실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연구실 공식 채팅방(카카오톡)은 운영하지 않습니다. 지도교수가 채팅방을 좋아하지 않아요.
개인 기념일(생일, 명절 선물 등)은 공식 행사로 진행하지 않으며, 스승의 날 등에도 선물을 받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학위 심사 시 심사위원에게 어떠한 대가(간식, 선물 등)도 드리지 않습니다.
여름철 1주일 휴가를 드립니다.
겨울철(성탄절·신정·설날 등)은 공휴일을 따르며, 추가 휴가는 원칙적으로 없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서로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지원을 희망하시는 분은 위 안내 사항을 참고하시어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인연이 되길 기대합니다.